본문 바로가기

 

 

 

 

 

증상으로 알아보는 질병 상식

‘열이 나요.’

 

 

 

 

 

아침, 저녁으로 기온 차가 꽤 납니다. 쌀쌀한 날씨 탓에 콧물을 훌쩍이는 사람도 늘고 있어요. 이럴 때일수록 더욱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지요. 감기에 걸려도 열이 날 수 있지만 감기 외에도 열이 나는 질병은 참 많아요. 어떨 때 열이 나는지, 그리고 열이 나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1. 뉴스를 보니 우리나라에서 가을에 열이 나는 병이 있다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가을철에 열이 나면 한 번쯤 의심해야 하는 질병이 있어요. 흔히 ‘가을철 3대 열성질환’이라 하는데 바로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 출혈열(유행성 출혈열)입니다.

 

 

 

 

 

먼저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합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물린 자리에 검은 딱지가 남아요. 종종 엉덩이처럼 눈에 잘 띄지 않는 민감한 부위에 생겨 모르는 경우도 있고요. 전부터 있었던 점이거나 긁어서 생긴 상처라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어요.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들쥐, 개, 돼지, 소 등의 동물 소변으로 흙이나 물이 오염될 수 있는데 여기에 상처 난 피부가 닿으면 렙토스피라증에 걸릴 수 있어요. 신증후군 출혈열은 원인 바이러스에 감염된 등줄쥐 또는 집쥐의 대소변과 침에서 나온 바이러스가 먼지와 함께 떠돌다 호흡기를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와 감염됩니다.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 출혈열 모두 야생에서 걸리기 쉬워서 농부나 군인이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하지만 일반인도 가을 날씨에 들과 산으로 야유회를 떠나거나 성묘를 가서 걸릴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모두 감기, 몸살처럼 열이 나는 것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질 수 있어요. 좀처럼 열이 떨어지지 않고 두통, 근육통 등이 심해지면 바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2. 가을에 열이 날 수 있는 병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첫째, 야외에서는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도록 하세요. 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 유충에 물려 생기고 렙토스피라증은 동물 소변에 오염된 물 또는 흙에 피부가 닿아 생기니까요. 옷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갑과 장화를 사용해 피부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합니다. 휴전선 부근 등에서는 가을까지 말라리아 모기가 활동하거든요. 바닥이 젖은 곳, 웅덩이가 있는 곳, 수풀이 우거진 곳은 피하세요. 또 야외에서 함부로 옷을 벗지 말고 그대로 앉거나 눕지 마세요. 앉을 때에는 돗자리 등을 깔고 사용 후에는 깨끗이 세척해 햇볕에 말려주는 것이 좋아요. 맨손으로 낙엽을 치우거나 밤을 줍는 것도 삼가세요. 야외에서 돌아온 뒤에는 즉시 옷에 묻은 먼지를 털어내 세탁하고 몸을 깨끗이 씻으세요.

 

 

 

둘째, 열이 나는 병을 하나라도 더 예방합시다.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세요. 독감이라고 하는 인플루엔자를 70% 정도 예방할 수 있고, 혹 감염이 되더라도 증상이 훨씬 가볍게 지나갑니다. 평소 만성 폐질환이 있거나 노인의 경우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폐렴 합병증으로 위독해질 수 있으니 꼭 백신을 맞아야 합니다. 독감(인플루엔자)은 단순히 독한 감기가 아니에요. 독감에 걸리면 젊은 사람도 아파서 학교나 직장에 가기 힘들 정도예요. 만성질환 환자 또는 노인이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다면 함께 접종하는 것도 좋습니다.

 

 

 

셋째, 깨끗이 손 씻는 습관은 늘 중요합니다. 감기부터 인플루엔자까지 손을 통해 전파될 때가 많아요. 손으로 가리고 기침을 한 뒤 침방울이 묻은 손으로 출입문 손잡이를 잡거나 악수를 하면 안 되겠죠. 다른 사람이 그 손잡이를 사용해도 감염이 될 수 있어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려 주위 사람을 배려해주세요.

 

 

 

넷째, 외국에 갈 때 꼭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travelinfo.cdc.go.kr/travelinfo) 홈페이지에 들러 해당 국가 지도를 클릭해 보세요. 국가에 따라 감염병 예방약과 백신이 필요할 수 있어요. 말라리아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걸리는 말라리아 치료제가 듣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3. 체온이 얼마나 올라야 열인가요?

 

 

 

체온은 입안, 귀 안(고막), 이마, 겨드랑 등 어디서 재느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요. 입안에 체온계를 넣고 쟀을 때 평균 체온은 36.8℃ 전후(36.4~37.2℃)입니다. 하루에도 여러 차례 체온이 오르내리는데, 아침에 37.2℃를 넘거나 오후에 37.7℃를 넘으면 열이 있다고 볼 수 있어요.

 

 

 

 

 

4. 열이 나는 원인을 알 수 있는 요령이 있을까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에 감염되어 열이 나는 경우가 가장 많아요. 특정 장기에 염증이 생겼다면 그 부위에 통증과 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열이 나면 어느 곳에 증상이 있는지부터 생각해 보세요.

 

 

 

▶증상이 생긴 곳에 열이 난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 기침과 가래가 있나요?

 →폐렴, 기관지염, 폐결핵일 수 있어요.

□ 오른쪽 윗배가 누르면 아픈가요?

 →급성 담낭염일 수 있어요.

□ 오른쪽 아랫배가 누르면 아픈가요?

 →급성 충수돌기염, 게실염일 수 있어요.

□ 배가 아프면서 설사를 하나요?

 →급성 장염, 염증성장질환일 수 있어요.

 

 

 

물론 이 밖에도 많은 질병에서 열이 날 수 있어요. 똑같이 쓸개에 염증이 생긴 급성 담낭염이어도 환자 상태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고요. 평소 건강했던 젊은 사람에 비해 노쇠한 어르신,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환자는 더 위험합니다. 똑같은 뇌수막염이어도 아이와 어른에서 원인이 되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다를 수 있어요.

 

 

 

또한 말라리아 같은 것에 감염되면 특정 장기에 특징적인 증상이 없을 수도 있어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피검사, 소변검사, X선 촬영, 초음파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꼭 감염이나 염증이 아니더라도 열이 날 수 있답니다.

 

 

 

 

 

5. 약을 먹어도 며칠째 열이 떨어지지 않아요.

 

 

 

열이 나면 보통 열을 떨어뜨리기 위해 해열제를 사용하죠. 세균 감염이 의심되면 항생제를 처방하는데 며칠이 지나도 계속 열이 나면 항생제를 바꾸거나 처음 진단이 맞는지 다시 살펴봐야 합니다.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면 감기처럼 항바이러스제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어요.

 

 

 

간혹 열이 나서 여러 가지 검사를 했는데도 몇 주째 열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대개 불명열이라 부르는 경우인데, 그 중 절반은 끝내 원인을 찾지 못한 채 서서히 좋아지곤 해요. 나머지 절반의 경우 원인으로 혈관염, 류마티스관절염과 같은 류마티스질환을 찾아내거나 숨어있던 감염 또는 암을 찾아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심장초음파에서 심장의 판막에 세균 덩어리가 붙어있는 감염성 심내막염을 찾아내기도 하고 부어있는 림프절에서 조직검사로 감염 등을 확진하기도 하지요.

 

 

 

 

 

6. 할머니가 식사를 잘 안 하셔서 병원에 갔더니 폐렴이라고 하네요. 열이 없으신데도 그럴 수 있나요?

 

 

 

 

 

나이가 많으면 면역력이 떨어져 감염이 되기 쉽습니다. 노인은 열이 잘 나지 않아 진료를 받으러 늦게 가는 경우가 많아요. 노인의 경우 너무 체온의 숫자에만 얽매이지 말고 이전과 행동이 달라졌거나 증상이 새로 생겼으면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부모님이나 할아버지, 할머니가 갑자기 기력이 떨어지셨나요? 입맛이 떨어져 요사이 통 음식을 못 드시나요? 의식이 떨어지거나 사람을 잘 알아보지 못 하시나요? 여기에 해당되면 바로 병의원으로 모셔가야 합니다. 설령 감염이 아니더라도 어떤 병이든 생긴 것일 수 있어요.

 

 

 

물론 노인도 열이 날 수 있는데 열이 나도 문제입니다. 열이 오르면 몸은 산소를 더 많이 필요로 하는데, 전부터 심장기능이나 폐기능이 약했던 노인은 열이 나면 위험해질 수 있어요. 체온이 37℃가 넘으면 1℃ 오를 때마다 산소 소모량이 13% 증가하고 맥박도 1분에 보통 4~5회 더 빨라져 몸에 부담이 됩니다. 열이 난 원인이 약물, 장티푸스, 렙토스피라증이면 맥박이 빨라지지 않을 수도 있어요.

 

 

 

젊은 사람도 항암치료를 받고 있거나 이식수술 등의 이유로 면역억제제 또는 스테로이드를 투여 중이면 열이 잘 안 나거나 미열에 그칠 수 있어요. 만성 콩팥병 환자도 그렇고요. 세균이 혈관을 돌아다니면서 혈압을 떨어뜨리는 패혈성 쇼크의 경우 오히려 저체온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체온만 믿지 말고 긴장해야 합니다.

 

 

 

 

 

7. 그러면 언제 진료를 받아야 하나요?

 

 

 

 

 

열이 많이 나거나 오래 가는 경우, 열은 많지 않지만 몸이 점점 더 안 좋아지는 경우, 원래 몸이 약한 경우(노인, 아이, 임신부, 만성질환자 등), 당뇨병처럼 감염되기 쉬운 지병이 있을 때 또는 열이 나거나 감염이 되면 악화될 수 있는 지병이 있는 경우에도 빨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의 교훈에서 보았듯이 외국에 다녀온 뒤 열이 나면 바로 신고해야 합니다.

 

 

 

열이 날 때 꼭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 1시간 이상 체온이 38℃ 아래로 내려가지 않아요.

- 며칠이 지나도 열이 떨어지지 않아요.

- 현재 임신 중이에요.

- 노인인데 폐질환, 심장질환이 있어요.

- 아이가 경련을 해요.

- 당뇨병 환자인데 혈당 조절이 잘 안 돼요.

- 항암치료를 받고 있어요.

-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를 사용 중이에요.

- 병원에서 수술 또는 시술을 받고 막 퇴원했는데 열이 나요.

- 뭔가에 물린 것 같은데 그 뒤로 열이 나요.

- 외국에 다녀온 뒤 열이 나요.

 

 

 

열이 나면서 다음의 증상이 있을 때에도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열과 함께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어도 진료를 받으세요.

 

- 숨쉬기 힘들어요. 

- 몸이 떨리고 식은땀이 나요.

- 근육통이 심해요.

- 머리가 심하게 아파요.

- 목 뒤가 심하게 아파요.

- 경련을 해요.

- 의식이 떨어져요.

- 심하게 토했어요.

- 설사를 심하게 했어요.

- 배가 심하게 아파요.

- 등이나 옆구리가 심하게 아파요.

- 피부에 뭐가 났어요.

 

 

 

 

 

 

 

 

 

 

 

 

 

다양한 보험 정보와 생활Tip이 궁금하다면? 

삼성화재 SNS와 친구가 되어주세요 :)

 

 

 


삼성화재 프로포즈
열심히 준비한 글, 어떠셨어요?